본문 바로가기

의학용어 DI 뜻, 응급실에서 알아야 할 중요한 포인트

trendlens 2025. 2. 16.

 

의학용어 DI의 뜻과 응급실에서 알아야 할 중요한 포인트

DI 환자 내원 시 주의사항

DI 환자가 내원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거예요. 중독된 약물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잖아요. 예를 들어 유기인제 중독같은 경우에는 피부나 점막으로도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개인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접근해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의료진도 중독될 수 있으니까요.

DI 환자 모니터링의 중요성

DI 환자의 경우 중독된 약물에 따라 활력징후가 크게 변화할 수 있어요. 심할 경우에는 독성에 의한 심정지까지 일어날 수 있죠. 그래서 환자 내원 즉시 활력징후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. 중독 물질을 정확히 알아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력징후 변화로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거든요.

DI 환자 초기 처치 ABCDE

DI 환자 처치는 ABCDE 순서로 진행해요.
A - Airway 기도 확보
의식 저하가 동반되면 기도 흡인 위험이 높아지므로, 기도 확보를 위해 기도 삽관까지 고려해야 합니다.
B - Breathing 호흡 유지
중독 환자는 호흡 저하가 올 수 있어 고농도 산소 공급이 필요해요. ABGA 검사로 환자의 산소화와 환기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.
C - Circulation 순환 유지
중독 물질에 따라 저혈압, 부정맥, 심정지 등 다양한 심혈관계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. 심전도 모니터링으로 환자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.
D - Disability 신경학적 평가
중독에 의한 의식 저하인지, 다른 질병이나 외상에 의한 것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요. Brain CT 등 검사로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.
E - Enhanced elimination 독성물질 제거
음독 후 1시간 이내라면 위세척으로 약물을 제거할 수 있어요. 다만 의식 저하 환자에게는 기도 흡인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
DI 환자 간호 시 유의사항

DI 환자 간호 시에는 약물 중독에 따른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잘 관찰해야 해요. 호흡 저하, 저혈압, 부정맥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활력징후 모니터링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. 또한 신경학적 증상도 면밀히 관찰해 다른 원인을 배제해야 합니다.
그리고 환자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응급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하고, 위세척이나 해독제 투여 등 원인 물질 제거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. 이런 DI 환자 간호를 위해서는 의학용어약물 중독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겠죠?

정리하며

오늘 D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, 어떠셨나요? 응급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DI 환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나요? 앞으로 DI 환자 처치 시 이 내용들을 잘 기억하고 적용해 보세요. 응급실 근무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.

댓글